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Baby

연말정산 자녀공제나이 알아봅시다

by 리사맘 2021. 1. 18.

안녕하세요

리사맘입니다.

저는 2020년에 출산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자녀공제를 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회사에서 늘 과장님 차장님들이 자녀공제로 나 이번에 많이 돌려받는다~자랑하시던게 생각나서 혹시 나도..? 하면서 기대를 했는데요 자녀공제라고 무조건 많이 들어가는게 아니더라구요. 첫째인지, 몇살인지에 따라 다 차등이 되어있다는 점 아셨나요? 

 

저 같이 초보맘들을 위해서 연말정산 자녀공제 어떻게 하면 되는지 한번 알아보고 그 이외에도 올해 출산하신 분들이 챙겨야하는 연말 정산 포인트들을 짚어보겠습니다. 


 

자녀세액공제 조건과 금액

세액공제는 말 그대로 세금을 줄여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말정산 시 자녀가 있는 경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자녀세액공제는 자녀가 있으면 세금을 줄여준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공제를 받으려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하고 공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어떻게 될까요?

 

자녀 세액공제는 크게 일반세액공제와 출생,입양 세액공제가 있는데요, 원래는 6세이하 자녀세액공제가 있었으나 2019년부터는 6세이하 자녀 세액공제는 폐지가 되었습니다. 2가지만 중복공제가 가능한데요. 저희는 위에서 말했듯 자녀세액공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녀세액공제는 다른 공제항목과 달리 복잡한 계산이 필요없습니다, 그냥 자녀수에 따른 공제액만 합산하면 되기 때문이죠. 당연히 자녀가 많을 수록 더 혜택이 많아지겠죠?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기본공제 대상자에 해당하는 자녀를 대상으로, 자녀의 나이가 7세 이상이어야 적용됩니다. 왜냐면 2019년 귀속부터는 만6세 미만 아동수당과 중복적용 제외가 되었기때문인데요.

 

 2019년 부터는 6세 이상의 자녀만 적용이 되었으므로 저처럼 2020년에 출산하신 분들은 아동수당 혜택을 받고 있기 때문에 자녀세액공제가 안됩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남편과 아내, 둘 중 한 분만 공제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 주세요. 자, 그러면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부양하고 있는 경우라면 아래와 같이 세액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1명인 경우에는 연 15만원

② 2명인 경우에는 연 30만원

③ 3명 이상인 경우에는 연 30만원 + 2명 초과 1명당 30만원입니다.

 

산후조리원 의료비 세액 공제

의료비 세액공제, 생각보다 쉽지않죠? 저희도 임신전에는 부부가 합쳐도 의료비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 말까였는데요, 2019년도부터는 산후조리원 비용도 의료비 세액공제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올해도 산후조리원 비용 세액공제 받을 수 있겠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모든 분들이 다 공제 받으실 수 있는 건 아니구요, 총 급여가 7,000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산후조리원에 지출하는(모자보건법 제2조 제10호에 따른 산후조리원) 비용에 대해 의료비 세액공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금액은 출산 1회당 200만원까지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산후조리원 지출금액은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서 조회가능하며, 조회가 되지 않는 경우 해당 산후조리원으로부터 영수증을 발급받아 회사에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모두 이번 연말정산에서 혜택들 꼼꼼히 챙기시어 13월의 월급 받으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댓글